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는 자녀 출산 무주택 가구의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전세대출이자 또는 월세 실지출액을 대 월 30만 원, 최장 4년까지 지원합니다. 신청은 출산 후 1년 이내 가능하며,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무주택 가구가 대상입니다. 신청 방법, 구비 서류, 심사 및 지급 일정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사업 개요

    서울시가 자녀 출산 무주택가구 주거비를 지원하여 출산 가구의 주거 부담을 낮추고 서울 정착을 돕는 사업입니다. 전세대출이자 또는 월세의 실제 납부액을 기준으로 지원합니다.

     

    2. 지원 금액·기간

    • 지원항목: 전세대출이자 또는 월세(실지출 기준)
    • 지원금액: 월 최대 30만 원 × 24개월 = 최대 720만 원
    • 연장: 다태아(쌍태아 +1년, 삼태아 이상 +2년), 지원 중 추가 출산 1명당 +1년 → 최장 4년
    • 지급방식: 선지출·사후지급, 증빙 가능한 최대 개월 수만큼 일괄 지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3. 신청 대상·자격 요건

     

    구분 요건
    기본 • 모집공고일 기준 부/모 중 1인 이상 서울 거주 & 자녀 서울시 출생신고
    •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입양: 기준 출생일로부터 48개월 이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예) 3인 가구 연 108,547,625원, 4인 가구 연 131,711,897원
    • 신생아특례대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이자지원 등 타 주거정책 수혜자 제외
    주거 • 부/모 모두 무주택, 공공임대 미거주
    • 전세 보증금 3억 원 이하 또는 월세(환산 포함) 130만 원 이하
    • 전용 85㎡ 이하
    반전세 환산식 = 전세보증금 × 5.5% ÷ 12 + 월세액
    합산 금액이 130만 원 이하면 신청 가능

     

    4. 신청 방법·구비 서류

    1. 온라인 신청: 몽땅정보만능키 접속 → 본인인증 → 신청서 작성
    2. 구비 서류(4종):
      • 임대차계약서 사본
      • 금융거래확인서(전세) 또는 월세 이체증(월세)
      • 청약홈 주택소유현황(부, 모 각 1부)
      • 가족관계증명서(부, 모 각 1부)
    3. 증빙 제출: 최종 대상자 선정 후 출생월(’25.1.1 이후)~지급 직전월(11월)까지 납부내역 증빙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5. 심사·지급 일정

     

    단계 상반기 접수(5~7월) 하반기 접수(8~10월)
    자격 검증 8~10월 11월
    결과 발표 10월 11월
    증빙 제출·확인 결과 발표 후 안내에 따라 진행
    지원금 지급 12월 일괄 지급

     

    소득 검증: 행정정보공동이용을 통해 전년도 소득금액증명원으로 확인

     

    6. 신청 가능 예시

    • 전세 거주: 전세대출이자 월 20만 원 납부 → 월 20만 원 지원
    • 반전세 거주: 전세 1억5천만 원(환산 60만 원) + 월세 60만 원 = 120만 원 → 기준 130만 원 이하로 신청 가능

    지원 기간 중 주택 구입·타 시·도 이주 시 지원 중단. 청약 분양권은 입주(잔금납부) 전까지 무주택 인정.

     

    7. FAQ

    월 30만 원을 모두 받나요?

    아니요. 실제 납부액을 기준으로 지원하며 상한은 월 30만 원입니다.

    분할 지급인가요?

    기존 6개월 분할에서 증빙 가능한 최대 개월 수 일괄 지급으로 개선되었습니다.

    공공임대 거주 중이면 대상인가요?

    아니요. 공공임대 거주자는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다태아·추가 출산 연장 규정은?

    쌍태아 +1년, 삼태아 이상 +2년, 추가 출산 1명당 +1년으로 최장 4년까지 가능합니다.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8. 문의처

    • 임신·출산·육아 플랫폼 몽땅정보만능키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1533-1465 · 다산콜센터: 02-120 · 저출생담당관: 02-2133-5025

    함께 보면 좋은 정보글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발급방법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발급, 인터넷으로 쉽게 확인하는 법부터 모바일 팁까지 알려드립니다. 빠르게 증명서를 원하시면 아래 버튼을 클릭하세요. 국민연금 가입증명서 발급하기 1. 국민연금 가

     

    2025 2차 어르신스포츠상품권 [+신청방법·대상·사용처 총정리]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 어르신들을 위한 어르신스포츠상품권 2차 신청이 9월5일부터 입니다. 1차에 이어 2차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며, 지원 금액과 사용처가 확대되어 어르신들의 건강한

     

    전기차보조금2025 총정리 [+조건·금액·신청방법]

    전기차 구매를 고민 중이라면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이 바로 전기차 보조금입니다. 2025년에는 보조금 지원 기준과 금액이 여러 부분에서 달라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기차보조금 2025 최신 정보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서울시 무주택 출산가구 주거비 지원[+ 최대 720만 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