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즌이 되면 주택청약통장, 주택마련저축 등 각종 금융상품의 납입증명서(소득공제용)가 필요하죠.
오늘은 국민은행, 농협,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주요 은행별로 소득공제용 납입증명서를 모바일이나 PC에서 발급받는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 납입증명서란?
납입증명서는 연간 금융상품 납입액을 증명하는 서류로, 소득공제 대상인 상품의 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합니다.
- 사용처: 연말정산, 종합소득세 신고
- 대상 상품: 주택청약종합저축, 장기주택마련저축 등
- 발급 방식: 모바일 뱅킹, 인터넷뱅킹, 영업점 방문
🏦 은행별 소득공제용 납입증명서 발급방법
1. 국민은행 (KB국민)
- KB스타뱅킹 앱 → 전체 메뉴 → [조회/출력] → [납입증명서 발급]
- 인터넷뱅킹: 로그인 후 [전체계좌조회] → [청약저축] → [납입증명서 출력]
- 국민은행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2. 농협은행 (NH)
- NH스마트뱅킹 앱 → 전체 메뉴 → [증명서/확인서] → [청약저축 납입증명서]
- 인터넷뱅킹: [조회] → [청약저축 납입내역] → [출력]
- 농협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3. 우리은행
- WON뱅킹 앱 → 전체 메뉴 → [청약저축] → [납입증명서 발급]
- PC: [청약저축 조회] → [납입확인서 발급]
- 우리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
4. 신한은행
- 신한 쏠(SOL) 앱 → 전체 메뉴 → [청약저축] → [연말정산용 증명서]
- 인터넷뱅킹: [마이페이지] → [증명서 발급] → [청약 납입증명서]
- 신한은행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5. 하나은행
- 하나원큐 앱 → [전체메뉴] → [청약상품] → [납입증명서 발급]
- PC: [고객센터] → [증명서 발급] → [청약저축]
- 하나은행 인터넷뱅킹 바로가기
6. 카카오뱅크 / 토스뱅크
-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현재 소득공제 대상 금융상품 미지원
- 2025년 기준 청약저축 기능 없음
📝 꼭 알아야 할 팁
- 증명서 출력은 PDF 저장 또는 이메일 발송도 가능
- 홈택스 제출용 파일은 자동 연동되지 않으므로 수동 제출 필요
- 일부 은행은 이메일 인증 또는 OTP가 요구될 수 있음
📌 결론
은행별로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뱅킹에서 손쉽게 납입증명서를 발급할 수 있는 만큼, 연말정산 준비는 미리미리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주택청약종합저축, 장기주택마련저축 등은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 혜택이 큰 만큼, 발급 방법을 잘 숙지해 두세요!
반응형